본문 바로가기
주식코인

주식 종목분석, 삼화콘텐서, MLCC, 전장용 적층형 콘덴서

by 부캐월드 2023. 2. 25.

삼화콘덴서 일봉

오늘은 내가 물려있는 삼화콘덴서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향후 전망이 나쁘지 않아 종목에 대한 분석을 하는 것이며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님을 밝힌다.

 

삼화콘덴서 기본현황

삼화콘덴서는 코스피 상장기업으로 시가총액 4,839억원, 유통비율 70%, 22년 잠정실적 304억 원의 중견기업이다.

52주 최저가는 28,600원으로 저점을 찍고 반등 중에 있으며 52주 최고가는 58,200원, 22년 1월에 72,300원 이후 하락했다. 당시 테슬라에 MLCC 납품 뉴스로 급등하여 상한가 터치 이후 이렇다 할 반등 없이 지속 하락하여 물려있는 투자자가

굉장히 많은 종목이다. 그럼에도 탄탄한 실력을 믿고 장기투자 중인 투자자들이 종목토론 게시판에 즐비하다.

 

차트상으로 보자면 장기이평선을 다 뚫고 일면 구름대라고 불리우는 일목균형표상 선행스팬 1,2를 모두 통과한 모습이다.

3만 원 아래를 두 번 터치하여 쌍바닥을 만들고 상승한 것으로 보아 이미 저점은 만들어졌고 손절할 사람들은 이미 다 나간 모양새이다. 최근 주식시장의 외국인 매수세를 바탕으로 저평가되어있는 삼화콘덴서에도 거래대금이 집중되고 있다.

 

업황

MLCC란 무엇일까? 적층세라믹콘덴서(Multi Layer Ceramic Condenser)라고 불리우는데 반도체에 전기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댐과 같은 역할을 한다. 회로에 전류가 불안정하게 흐르게 되면 부품이 망가지기 때문이며 매우 미세한 굵기로 제작되는 고가의 부품이다. 전기차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데 이에 따라 전장용 MLCC 수요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중국의 리오프닝과 테슬라의 가격인하 정책에 따른 판매증가로 MLCC 주문도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관련업체인 삼성전기 또한 최근 상승세를 타고 있다. 테슬라, 삼성전기, 삼성전자 등 관련주의 트렌드도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삼화콘덴서의 움직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향후 전망

SK증권은 1월 삼화콘덴서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만원을 유지했다. 전장의 수주동향이 상당히 우호적이고 성장 가시성이 높다는 의견이었다. 차트상으로도 피봇 2차 저항선이 49,800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5만 원대에서 Round Figure 효과로 인해 저항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조심스럽게 예측하자면 5만 원을 터치한 이후 시장상황이 안 좋을 때 한 번의 하방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다시 단기 저점을 만들고 매물대를 소화한 후에 5만 원대 돌파를 다시 한번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서 힘을 받아 5만 원을 강하게 뚫어준다면 6만 원대까지 노려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와 연관된 수주 소식이 다시 한번 들려오거나 한국에 공장을 짓는다든지 하는 뉴스가 나오게 되면 삼화콘덴서는 상한가를 노려볼 수 있는 종목이다. 그러나 이는 불확실성이 크고 언제 급등이 올지 모르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조금씩 장기투자할 수 있는 투자자만 조정이 있을때 조금씩 담아두길 권장한다.

 

나는 계속 물타기를 하다가 너무 큰 금액이 묶여 있었기 때문에

바닥을 찍고 급등할때 물 빼기를 단행했다.

 

만약에 4만원 아래로 한번 급락이 온다면 그때 물타기를 다시 한번 시도해보려고 한다. 

올해는 주식시장 전망이 전반적으로 좋을 것으로 보이는데 종목분석도 다양하게 준비하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