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

마곡지구 개발현황 및 향후 전망 오늘은 마곡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제2의 강남이라는 얘기까지 나왔던 마곡은 대체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고 얼마나 개발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어떻게 될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마곡의 과거 마곡은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한 도시개발지구입니다. 과거에는 농경지와 공항 주변지역으로 쓰이던 지역이었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부터 강서구와 서부권의 대표적인 산업단지로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서울시에서도 마곡지구에 대한 주목을 높이게 되었습니다. 2000년대 중반부터는 신도시로서의 발전을 꾀하면서 국내외 기업의 입주를 유치하며 점차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최초 마곡지구 개발계획수립은 1994년이었습니다. 그 후 1997년에는 마곡지구의 일부가 산업단지로 지정되었고 2002년 마곡지구 중앙에 마곡나루역(9호선)이 개.. 2023. 3. 6.
방화 뉴타운 진행현황 및 전망, 마곡 배후수요, 김포 복합개발 오늘은 방화뉴타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도 신방화역에 새로 지은 힐스테이트에 투자를 하였기 때문에 엄청난 관심과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방화뉴타운 이란? 방화뉴타운 또한 매우 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공항동일대 주거지역으로 조성된 이 지역은 너무 낙후되어 재개발 논의가 있다가 2003년 11월에 뉴타운 지구로 지정되었습니다. 당초에는 1~8 구역으로 대단위 재개발이 이루어질 예정이었으나 2008년 금융위기 등 여러 가지 대외적인 요인이 맞물리면서 10년이 넘도록 개발이 지지부진하게 진행되었습니다. 지역 주민들 간의 의견도 합치가 되지 않으면서 결국 1, 4, ,7, 8 구역은 뉴타운 지정 해제가 되고 나머지 구역들만 독립적으로 개발이 추진되었습니다. 가장 먼저 개발이 이루어진 것은 방화뉴타운.. 2023. 3. 5.
난곡선 예타발표 진행현황 및 전망 오늘은 서울시 도시철도망 3편으로 난곡선의 예비타당성 진행현황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도 예전에 신림, 봉천에서 자취를 하면서 보라대공원도 자주 가고는 했었는데 난곡선이 꼭 생겼으면 하는 바람으로 포스트를 작성해 봅니다. 난곡선이란? 난곡선은 4.08km 구간으로 2호선인 신대방역과 경전철 신림선이 연계되며 5개 역이 신설된다. 난곡선도 다른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2000년대 초반부터 15년간 지연되다가 민자사업에서 2018년 재정사업으로 전환되면서 급속도로 진전되었다. 관악구는 동서방향을 잇는 지하철 2호선 1개 노선만 있었기에 교통편에서 큰 불편을 겪어왔는데 신림선, 난곡선이 개통되면 교통문제 해결과 함께 도심발전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난곡선에 이어 난곡선 연장선도 추진 대상이다. .. 2023. 3. 3.
나라장터 구매입찰, 조달플랫폼 (Feat. 인콘) 오늘은 인콘 조달플랫폼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솔직히 이건 저만 알고 싶은 부업이기도 했지만 제 블로그에 와주시는 여러분에게 다 풀어드리려고 합니다 아직은 저도 가입절차까지만 완료했고 입찰후기는 다음 편에 써볼게요!! 인콘 조달플랫폼이란? 인콘은 2000년에 설립된 회사로 라이다 통합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라이다는 자율주행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 인콘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니 놀랍네요. 이외에도 영상통합관제, AI, 소방방재, QNAP, 바이오 등 여러 가지 사업을 하고 있고 그중에 하나로 공공조달플랫폼 비즈니스까지 영위하고 있습니다. 공공조달 플랫폼 서비스는 조달청에서 운영하는 나라장터에서 모든 공공조달 대상 물품을 구매 입찰하고 이를 각 제조사에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이.. 2023. 3. 3.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이란? (Feat. 성일하이텍, 에코프로) 오늘은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이미 시장에서는 2차 전지와 폐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데 대체 무엇이 이슈인지 알아보자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개요 '21년 기준 전기차 누적 등록대수는 23만대로 전년대비 +10만 대 (+ 15%) 증가했다. 이러한 전기차의 증가는 이미 예견되어 있는데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대부분의 완성차사들이 2030년까지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은 5-10년이 지나면 급격히 떨어지는데 70% 미만에서 충전효율이 급격하게 나빠져 교체가 필요하다. 수명이 다한 폐배터리는 성능 검사 후 1) ESS(에너지저장장치)로 재사용되거나 2) 배터리를 구성하는 원료를 회수하여 배터리 소재로 재활용된다. 폐배터리 재활용산업은 배터리를 구.. 2023. 3. 3.